한국 출산율 9년 만에 반등

​최근 대한민국의 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저출산 문제로 고민하던 우리 사회에 작은 희망의 불씨를 지핀 소식입니다. 비록 아직 대체출산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이번 반등의 의미와 앞으로의 과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출산율 9년 만에 반등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의 증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출생·사망 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 2024년 출생아 수: 238,300명 (전년 대비 8,300명 증가, +3.6%)
  • 2024년 합계출산율: 0.75명 (전년 대비 0.03명 증가)​

이는 2015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한 수치로, 지속되던 저출산 추세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줍니다. ​


출산율 반등의 주요 요인

이번 출산율 반등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 혼인 건수 증가: 코로나19로 연기되었던 결혼이 다시 늘어나면서, 지난해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14.9% 증가한 222,422건을 기록하였습니다. ​
  • 출산 연령층의 변화: 1990년대 초반에 태어난 '2차 에코 붐 세대'가 결혼 적령기에 접어들면서 출산율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사회적 인식 변화: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출산을 장려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

여전히 낮은 출산율과 인구 감소 우려

그러나 현재의 합계출산율 0.75명은 인구 유지에 필요한 대체출산율 2.1명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반등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향후 과제와 전망

비록 작은 변화이지만, 이번 출산율 반등은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한 희망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정책 지원과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통해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