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출시 트렌드 분석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동일한 브랜드 내에서도 다양한 가격대와 기능을 가진 모델들이 연중 여러 시점에 출시됩니다. 브랜드마다 타겟 고객층이 다르기 때문에 모델의 출시 시점과 가격대에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합니다. 이번 대시보드의 목표는 이러한 패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습니다.
Requirements
- 각 브랜드가 한 해 동안 어떤 가격대의 스마트폰을 언제 출시하는지 시각적으로 표현
- 고가, 중가, 보급형 모델의 포지셔닝이 분기별로 어떻게 분포되는지 한눈에 파악
- 연도와 브랜드, 디바이스 유형(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기준으로 필터링이 가능
Development
한 해 동안 출시된 특정 브랜드의 전체 스마트폰 모델을 대상으로 출시 분기(가로축) 와 출시가(세로축) 를 기준으로 한 시각화를 설계하였습니다.

🧩 데이터는 어떻게 확보하였나요?
스마트폰 스펙 정보를 제공하는 GSMArena 사이트를 크롤링하였습니다. 연도, 브랜드, 모델명, 출시 분기, 출시 가격, 주요 기능(5G, 메탈 프레임 등)을 컬럼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동일한 분기, 동일한 가격의 모델이 여러 개 있으면 점이 겹치는데 어떻게 처리했나요?
실제로 동일한 분기에 비슷한 가격으로 출시되는 모델이 여러 개 있었습니다. 차트 상에서 이들은 같은 좌표에 겹치게 되어 구분이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이 시각화의 목적은 정확한 금액 비교보다는 전반적인 분포 파악이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보다 INDEX 함수를 통한 임의 간격을 부여해 위아래로 살짝 분리했습니다. 덕분에 겹침 없이 전체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정확한 가격은 Tooltip(도구설명) 으로 제공했습니다.
🧩 가격대 범위가 너무 넓어서 한 축에 표시하면 모델이 몰려보이는데, 어떻게 해결했나요?
초기에는 단일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로 세로축을 설정했지만, $100~$1,500 이상까지 분포가 넓어 보급형 모델들은 하단에 밀집되어 가독성이 떨어졌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격을 구간별로 나누었습니다.Low / Mid / High / Premium 과 같이 그룹화하고 각 그룹마다 개별 축 사용하도록 설정했습니다. 이 방식으로 고가 모델과 저가 모델을 동시에 비교하면서도, 각 영역 내에서는 세밀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축을 여러 개로 나누면 사용자가 혼란스러워하지 않나요?
축의 구분이 시각적으로 복잡해질 우려가 있었지만, 각 영역마다 명확한 라벨과 가격 범위를 표기해 혼란을 최소화했습니다. 또한 각 구간 내에서 모델 이름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간격을 조정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가격대별로 구분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 Tooltip에는 어떤 정보를 제공했나요?
Tooltip에는 모델명, 출시 분기, 출시 가격, 주요 기능(5G, 방수 등)을 함께 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모델 간의 세부적인 차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었고, 시각적으로는 간결하지만 정보량은 충분한 구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주요 기능들의 필터는 어떻게 적용하였나요?
최상단의 Features 필터는 중복 적용이 가능하도록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구현하였고, All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는 다른 항목들의 선택이 취소되도록하여 사용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